분류 전체보기 67

MyBatis 동적 SQL 쿼리

예를 들어 게시판에서 검색 기능을 구현할 때 다음의 요소가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검색 기준(keytype): 글쓴이(writer), 제목(title), 내용(content) 검색어(keyword) 정렬 기준(orderby): 글쓴이(writer), 제목(title), 조회수(view_cnt) 정렬 방향(orderbydir): 오름차순(asc), 내림차순(desc) 예를 들어 검색 기준을 select 태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제목 글쓴이 내용 이 때, 검색 기준, 정렬 기준, 정렬 방향은 여러 가지의 옵션이 있으며, 각 옵션을 선택할 때마다 SQL 쿼리문이 달라져야 한다. 이렇게 여러 조건에 대응하여 동적으로 SQL 쿼리문을 생성하는 것을 동적 SQL 쿼리라고 한다. MyBatis에서는 ..

카테고리 없음 2023.10.18

[CS109] 01. Counting 개수(경우의 수) 세기

Counting 개수 세기에는 Step Rule, Sum Rule 두가지의 규칙이 있다. Step Rule A, B 두 사건이 단계적으로 수행되며, 사건 A가 사건 B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A| * |B| |A| = m, |B| = n 이라면 m*n Step Rule의 예로는 픽셀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들 픽셀들로 구현 가능한 서로 다른, 유니크한 이미지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 있고, 하나의 픽셀은 17만개의 색 표현이 가능하므로, 12개의 픽셀이 주어질 경우 17만의 12제곱의 가능한 이미지가 있다. Sum Rule A 또는 B가 일어나는 경우, |A| + |B| - |A and B| Sum Rule과 Step Rule의 복합 예로는 길이가 6인 이진 문자열 만들기가 있다. 이 때, 앞이 01..

카테고리 없음 2023.10.18

나는 왜 블로그를 하지 못할까.

나는 본래 정리를 하는 성격의 사람이 아니다. 집안도 너저분하고, 집안 만큼이나 내 머릿속도 너저분하다. 그래서 나의 학생들에게는 블로그를 만들어서 정리를 해 보라고 조언을 많이 했지만, 정작 나 자신은 전혀 그렇지 못했다. 내가 정리를 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귀찮기 때문이기도 하고, 시간이 없다는 핑계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사실 나는 내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생각들을 공유하는 것에 미숙하다. 나는 내 생각을 드러내는 것을 꺼린다. 나는 사회성도 부족하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선뜻 다다가는 사람이 아니다. 마음은 있지만 선물을 보내거나 인사를 하는 것에도 고민고민을 하다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단적인 예가 이번 추석에도 교수님께 명절 인사를 하지 못했다. 다음 설에는 명절 인사를 보내봐..

카테고리 없음 2023.10.16

LazyVim, Neovim .. 이 뭔데?

neovim이라는 것은 lua로 만들어진, vim의 포크와 같은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까? 나는 루아를 모르고, 못하지만, 루아로 만들어진 네오빔을 사용할 수는 있다. 마치, 내가 vim을 c언어로 직접 만들수는 없지만, vim을 사용하는 것처럼 내가 autocad, illustrator를 만들 수는 없지만, 사용할 수는 있는 것처럼 말이다. neovim보다 더 나은 neoneovim이 있을까 하는 걱정은 하지말자. vim 또한 vi에서 출발한 것이고, 절대적인 것은 없다. 그냥 선택일 뿐 그냥 사용해보자, neovim과 lazyvim을

카테고리 없음 2023.10.16